돈 정보 나눔

TDF2050 ETF 투자비용, 위험등급 비교(삼성, 한화, KB, 키움)

치즈 타르트맛 종이 2024. 6. 29. 08:00

⭐시작하기 전에 금융지식이 거의 없기 때문에, 틀린 점이 있을 수도 있다는 걸 반드시 감안해주세요 ⭐
 
최근 ETF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IRP는 안전자산 30%를 채워야 하는데, TDF가 안전자산에 속하고, TDF가 은퇴시점에 맞춰서 공격적인 투자에서 안정적인 투자로 변경하면서 운용해주는 상품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TDF 2050 ETF

TDF2060 ETF도 알아봤는데 상품이 많지 않아서 일단은 2050으로 투자해보기로 했다. 나는 미래에셋을 사용하는데 4곳의 증권사가 상품을 운용하고 있었다.
 

 
 

비교방법

상품이나 구성종목에 대해서는 지식이 없어서 비교가 어렵고, 단순하게 내가 봤던 부분은 2가지이다. 투자위험등급과 수수료!
 

1. 투자위험등급

1) 삼성 KODEX : 3등급
글로벌 기초지수 추종 비율이 75%이상에 달하고 나머지 소액은 여러 채권, 국고채 상품 등 여러 가지에 쪼개져서 들어가있다. 타 상품에 비해 안정적인 편이다.
 

 
 
2) 한화 ARIRANG : 2등급
선진국과 신흥국 주식이 들어가 있고, 한국 국채도 20% 들어간다고 한다. KODEX 상품 비교하면 신흥국 주식도 일부 들어있다.
 

 
 
3) 국민 KBSTAR : 2등급
투자비중은 적지만 원자재와 리츠가 들어간다는 점이 타사와 다르게 느껴졌다.
 

 
 
4) 키움 히어로즈 : 2등급
미국 지수 추종 상품과 선진국 상품 등 미국 상품을 위주로 투자한다. 다른 상품과 달리 미국 상품에 치중된 것 같아 보인다.
 

 
 

2. 투자비용

1,000만원 투자시 투자자가 부담하는 투자기간 별 총 보수비용 예시에서 나는 1년을 기준으로 봤다. 기간이 길어질수록 비용은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1) 삼성 KODEX : 총 보수비용 0.50%
 

 
 
2) 한화 ARIRANG : 0.69%
 

 
 
3) 국민 KBSTAR : 0.59%
 

 
 
4) 키움 히어로즈 : 0.83%
키움은 총보수는 삼성과 별로 차이나지 않는데, 합성총보수 비용이 높아서 총보수비용이 올라가는 걸 볼 수 있다.
 

 
 

정리

 삼성한화국민키움
위험등급3등급2등급2등급2등급
투자비용(1년 기준)0.50%0.69%0.59%0.83%
특징안정적인 편신흥국 포함원자재, 리츠 포함미국 상품에 주로 투자

 
 

내의견

수익이 충분히 나면 투자비용을 상쇄하기 때문에, 수익률에 연연해서 상품을 고를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상품이 수익률이 나올 수 있는 상품인지와, 본인의 투자성향을 고려해보고 투자해보면 좋을 것 같다.